-
시뮬레이션스플러스(SLP) 매수 다음날 FDA 보조금 소식에 주가 급등해버림 ft. 제약주 [미국 주식](개미)투자일기 2020. 5. 28. 23:59
2020년 5월28일 장 초반 시뮬레이션스플러스(SLP) 주가 흐름. 이래서 제약·바이오기업 주식을 거래하나 보다.
어제 산 시뮬레이션스플러스(Simulations Plus Inc., SLP)가 오늘 장 초반 19% 이상 뛰었다. 지금은 조금 안정돼서 어제 종가보다 14% 정도 오른 가격에 사고팔리고 있다.
나는 원래 제약·바이오기업 주식은 쳐다도 안 봤다. 기사들이 나와도 일부러 관심을 껐다. 다른 좋은 기업들이 많은데 굳이 살 필요도 없거니와 특히 한국에서는 주가가 투기적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화이자(PFE)만 잠깐 들고 있다가 역시 정이 생기지 않아 팔아버렸다.
그런데 시뮬레이션스플러스는 왜 샀을까? 오늘 주가가 떡상할 거라고 알기라도 했을까?
사실 내가 시뮬레이션스플러스를 매수한 일은 워런 버핏이나 피터 린치 등 투자의 대가들이 강조하는 워칙과 어긋난다. 그들은 투자자가 아는 영역에 돈을 넣으라고 하는데 나는 시뮬레이션스플러스를 어제 처음 발견하고 바로 사버렸다. 지금도 뭐하는 회사인지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시가총액이 좀 낮은 기업을 사고 싶어서 회사들을 물색했다. 마이크로소프트나 애플 등 시총이 1조 달러를 넘는 기업들도 좋지만 탄탄하면서도 규모가 작아서 성장가능성이 크고 주가 상승률도 높을 수 있는 기업 주식을 사고 싶었다. 시뮬레이션스플러스는 시총이 8억 달러 정도에 그친다.
기업 설명을 봤다. 제약 연구에 쓰이는 소프트웨어를 만든단다. 분자구조가 어떻게 될지 시뮬레이션을 돌리는듯? 그래서 회사 이름이 시뮬레이션스플러스인가? 음 제약회사가 아니라 소프트웨어회사란 말이지? 합격. 뭐 이 정도로 생각했다.
그리고 수치들을 봤다. 안 살 수가 없었다.
우선 ROE. 20~30퍼센트대를 유지하고 있다. 합격.
다음은 EPS. 아름답게 우상향.
다음은 실적.
5년치 매출 흐름. 5년치 영업이익 흐름. 5년치 순이익 흐름. 말이 필요 없다. 매출 증가율이 두 자릿수,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큰 규모로. 영업이익률은 30%, 순이익률은 24%.
재무적으로도 탄탄하다. 현금성자산 1225만 달러에 장기부채는 없다.
배당은? 매수를 고려할 때 시가배당률이 0.68%였던 걸로 기억한다. 오늘은 0.5x%로 낮아졌다. 아쉽지만 배당금이 없진 않으니 실적과 재무현황을 감안해 통과.
사실 시가배당률이 낮은 데는 주가가 워낙 높은 영향이 크다.
나는 자동차처럼 전통적 산업이 아닌 이상 PER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서 잘 찾아보지 않는데 PER을 신경쓰는 투자자에게 SLP는 주가가 너무 높을 수도 있다. 기준에 따라 다르지만 90~120 수준으로 아주 높다. 주가 자체도 사상 최고 수준. 지난 5년 동안 9배 넘게 올랐다.
어쨌든 시뮬레이션스플러스 주가는 오늘 왜 이렇게 올랐을까?
뉴스에 매수세가 몰렸기 때문이다.
Simulations Plus Receives New Grant Award from the FDA
Simulations Plus today announced that it has received a new Grant Award from the FDA to enhance the ocular (OCAT) model in its GastroPlus software.
www.businesswire.com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시뮬레이션스플러스에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3년 동안 최대 40만 달러를 지원한다. (사실 기사를 읽어도 무슨 소리인지 잘 모르겠어서 복사해 넣기로.. 위험한 투자..)
Simulations Plus, Inc. today announced that it has received notice from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that it has been awarded a new funded cooperative agreement, for up to $400,000 over three years, to develop physiologically based pharmacokinetics/pharmacodynamics (PBPK/PD) approaches to support interspecies translation for ocular drug delivery in GastroPlus.
Under the cooperative agreement, FDA scientific and program staff will assist and participate in project activities in a partnership role with several leading pharmaceutical and generic drug companies. Drs. Jessica Spires and Maxime Le Merdy will serve as project leads and have primary responsibility for the scientific, technical, and programmatic aspects of the award.
첨병만 보내놓았다가 주가가 급상승해버렸는데 기업을 조금 더 알아본 뒤에 주가가 좀 안정되면 추가로 매수할 생각을 하고 있다. 연구실에서 수행하는 실험보다 컴퓨터로 시뮬레이션을 돌리는 게 비용적으로 효율적일 수밖에 없는 만큼 제약산업에도 기술을 접목하는 시도가 늘어나길 기대하기 때문이다. 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큰 제약회사 20곳 가운데 19이 이미 시뮬레이션스플러스 제품을 이용하고 있다고 한다.
우버(UBER) 매도 ft. 쇼피파이(SHOP), 스퀘어(SQ) [미국 주식]
코로나19 사태를 지나면서 투자에 대한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교훈도 많이 얻었다. 막대한 손실은 수업료라고 위안 삼는다. 여러 종목을 손절하면서 어떤 기업을 사고 어떤 기업은 처음부터 사�
fennecfox-life.tistory.com
'(개미)투자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통장 & 네이버(주가)플러스, 실적 영향은? 얼마 이상 써야 이득일까 ft. 카카오, 쿠팡 (2) 2020.06.11 스페이스X 유인우주선 발사 성공, 테슬라(TSLA) 주가 영향은? 일론 머스크가 그리는 전기차 자율주행차 미래 ft. 애플, 우버 [미국 주식] (0) 2020.05.31 건물주 되는 방법, 카사 투자 미리보기 ft. 리츠 (4) 2020.05.23 CJ CGV 주가 바닥일까, 재무구조 및 사업 전망 ft. 유상증자, 터키 [한국 주식] (2) 2020.05.18 네이버 주가 신기록, 한국판 아마존 큰그림에 목표주가 상향 ft. 쿠팡 [한국 주식] (2) 2020.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