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정일자
-
확정일자란? 신청방법과 비용, 받아야 하는 이유와 효력 등자취일기/직거래로 집 구하기 2020. 1. 30. 15:55
자취방을 보러 다니다 보면 이런 말을 자주 듣는다. "확정일자랑 전입신고 다 가능해요." "확정일자 받을 수 있어요." 당시 나는 확정일자가 뭔지 확실히 모르는 채로 네네 하고 넘겼다. '내가 집에 들어간다는 사실을 확정하는 날짠가?' '전입을 확정하는 날짠가?' '내가 방에 들어갔다는 사실을 확정해준다는 뜻인가?' 1. 확정일자란 도장 속 날짜가 바로 확정일자다. 저 도장을 받는 행위를 '확정일자를 받는다'고 말한다. 계약을 체결한 사실을 국가기관이 확인해주는 절차다. 2. 어떻게 받나 1) 오프라인 주민센터나 동사무소, 법원에서 받을 수 있다. 나는 입주하려는 동네의 주민센터로 갔다. 인터넷으로 받을 수도 있지만 공인중개사에서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거면 주민센터에서 받는 게 좋다고 해서 ..
-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 서류 준비 - 취급은행 및 유의사항 ft. 확정일자자취일기/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 2020. 1. 27. 13:07
나는 임대차계약을 맺은 뒤에야 은행에 가서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을 신청했다. 전세자금대출이 안 나오면 계약금을 돌려받는다는 특약을 계약서에 넣어서 크게 위험하다고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계약과 대출, 보증보험 등 관련 내용을 충분히 인지했다면 이렇게 진행해도 무방할 것 같지만 웬만하면 본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은행에 들러 관련 내용을 충분히 안내받기를 추천한다. 들어가려는 집의 등기부등본이랑 건축물대장을 뽑아가면 은행에서 이런저런 얘기를 해준다. 가령 전세자금 보증보험은 이사를 하고 전입신고까지 마친 뒤에 신청할 수 있어서 계약을 맺을 당시에는 가능 여부를 알 수 없다. 아파트나 오피스텔은 보증보험 가입이 쉽지만 다가구투잭은 잘 받아주지 않는다고 한다. 은행에 가서 상담을 받으면 이런 내용을 말해..